오늘 며칠간 중요한 투자때문에 밥먹는 걸 자꾸 까먹어서 유부초밥이랑 연어 후토마키 만들었어요
요약
연어 후토마키 만들기
[재료]
- 김밥용 김 2장
- 밥 2공기
- 식초 2큰술, 설탕 1큰술, 소금 1작은술 (초밥용 밥간)
- 연어(슬라이스) 150g
- 단무지 (길게 썬 것) 2줄
- 무순 한 줌
- 맛살 2줄
- 마요네즈 (선택)
[만드는 법]
- 밥 준비하기: 따뜻한 밥에 식초, 설탕, 소금을 넣고 고루 섞어 초밥용 밥을 만든다.
- 재료 손질: 단무지와 맛살은 길게 썰고, 무순은 깨끗이 씻어 물기를 제거한다.
- 김 위에 밥 펴기: 김밥용 김 위에 밥을 고르게 얇게 펴주되, 윗부분 2cm 정도는 밥 없이 비워둔다.
- 속재료 올리기: 가운데에 연어, 단무지, 무순, 맛살을 길게 올리고 마요네즈를 약간 뿌린다.
- 말기: 김발을 사용해 단단히 말아준다. 끝부분은 물로 살짝 접착해서 고정한다.
- 자르기: 날카로운 칼을 식초 물에 적시면서 깨끗하게 잘라 낸다.
팁:
- 연어는 생연어나 훈제연어 모두 가능하며, 무순 대신 어린잎 채소로 대체해도 맛있습니다.
유부초밥 만들기
[재료]
- 유부초밥용 유부 (시판 제품) 1팩
- 밥 2공기
- 유부초밥용 양념 (시판용 소스 또는 식초+설탕+소금 혼합물)
- 깨소금 약간
- 다진 단무지, 당근, 오이 (선택사항)
[만드는 법]
- 밥 양념하기: 따뜻한 밥에 유부초밥용 양념 또는 직접 만든 식초 간장을 넣고 골고루 섞는다.
- 속재료 추가: 다진 단무지, 당근, 오이 등을 넣고 깨소금도 뿌려 가볍게 섞는다.
- 유부 준비: 유부는 속을 벌려 물기를 제거한다.
- 채우기: 준비된 밥을 적당량 덜어 유부 속에 채워 넣는다. 너무 많이 넣지 않도록 주의!
- 모양 정리: 손으로 살짝 눌러 모양을 잡고 접시에 담는다.
팁:
- 아이들 간식으로도 좋고, 피크닉 도시락용으로도 활용도 높습니다.
- 밥에 참치 마요를 섞어 유부초밥으로 만들면 더욱 풍미가 살아납니다.

재료 진짜 많죠 어제 잠결에 주문했어요 ㅋㅋ 웃기네 ㅋㅋ 큰잔치 맛살 왜이렇게 커요 ?

뭐가 됐건 코팅 된 후라이팬을 꺼내들었어요 옛날에 사뒀던 코팅 후라이팬인데 요즘 유용하게 쓰네요 히히 계란의 노른자 비율을 8로잡고 지단을 부쳐줍니다 흰자는 어떻게하냐면 따로 부쳐서 넣던지 하면되는데 저는 노른자 위주로 부친 것만 넣었어요 ^^

유부도 한번 데쳐서 물기를 꼭 짰어요 저는 강한 음식을 못 먹어서요 이 유부에는 간이 이미 다 되어있는데 강하거든요 강한 산미로 일반 분들께는 새콤달콤한 그런 느낌

단촛물도 준비해요 저번에 참치 후토마키 만들었는데 이번에는 연어네요

맛살,무순,계란 부쳐서 길게 잘라두기,유부초밥 데쳐놓기,유부초밥 세트에 들어있는 단촛물이랑 후리카게,연어 길게 잘라주기,단무지도 길게 잘라주기

밥은 단촛물 베이스는 같은데 하나는 시판용 단촛물과 후리카게로 유부초밥 소를 준비하구요 나머지 심심한 부분은 후토마키에 넣을 거에요 요건 현미쌀이에요


요렇게 유부초밥도 소를 잘 넣어서 준비해두고 후토마키도 잘 말아줘요 들기름 다 먹어서 해바라기씨유 분사형 분사했어요

소를 많이넣어도 상관은없는데 저는 잘 체하고 그래서 공기층 공간도 좀 넣어주고 소를 많이 안 넣었어요

후토마키도 엄지손 굵기로 잘라줍니다

완성이 되었어요 유부초밥은 간이 이미 유부에 되어있어서 촉촉하고 새콤하고 유부의 고소함이 느껴지구요 후토마키는 부드러운 연어와 맛살,계란이 조화롭게 밥과 어울리는 그런 맛이에요
전 파래김을 썼는데 파래김이 일반 재래김보다 건강에 좋대요 우리나라 사람들은 김이나 해조류를 다른 사람들보다 많이 먹는다고 하던데 저는 낫또 먹을 때 감태랑 같이 먹는 정도만 먹어서 이렇게 후토마키만들 때 김을 여러장해서 먹어요

유부초밥의 유래 알려드릴게요

유부초밥의 유래는 일본에서 비롯되었으며, 일본어로는 "이나리 스시(いなり寿司)"라고 합니다. 여기에는 흥미로운 전통과 신화적 배경이 담겨 있습니다.
유부초밥(이나리 스시)의 유래
1. 신사 문화와 여우 신화에서 유래
- 유부초밥은 일본 신토(神道) 문화와 관련 깊은 음식입니다.
- 일본의 이나리(稲荷) 신사는 곡물과 풍요, 특히 벼농사의 신을 모시는 신사인데, 이 신사의 상징 동물은 여우(狐, 키츠네)입니다.
- 여우가 유부(얇은 두부를 튀긴 것)를 좋아한다고 전해져, 유부에 밥을 넣은 유부초밥을 이나리 신에게 바치는 음식으로 삼았습니다.
2. 형식의 탄생
- 이나리 스시는 에도 시대(1603~1868년)에 등장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두 가지 형태로 발전했습니다.
- 간사이 지방(오사카 등)에서는 삼각형 모양
- 간토 지방(도쿄 등)에서는 타원형 또는 주머니 형태
- 간편하게 먹을 수 있으면서도 단맛이 나는 유부와 새콤한 초밥의 조화가 대중적으로 인기를 끌었고, 지금도 일본의 편의점, 도시락, 가정식에 빠지지 않는 메뉴가 되었습니다.
3. 한국으로의 전래
- 유부초밥은 일본 식문화가 한국에 소개되면서 널리 알려지게 되었고,
- 한국에서는 김밥 재료를 응용하여 단무지, 당근, 참치 마요, 날치알 등을 넣은 "한식 스타일" 유부초밥으로 재탄생했습니다.

이제 이나리 스시 이야기 하면서 좋아하는 친구와 함께 맛있는 음식 즐길 수 있겠죠?

후토마키는 이런 유래를 가지고 있어요
후토마키(太巻き)의 유래와 역사
1. 이름의 의미
- 일본어로 후토마키(太巻き)는
- “후토(太)” = 굵다, 두껍다
- “마키(巻き)” = 말다
라는 뜻입니다.
즉, 여러 가지 재료를 넣어 굵게 말은 김밥 스타일의 스시를 말합니다.
2. 지역적 기원 – 간사이(오사카) 지역
- 후토마키는 에도 시대 후반에 오사카 지역을 중심으로 발전했습니다.
- 오사카는 "일본의 부엌"이라고 불릴 만큼 음식 문화가 발달한 곳으로,
여러 가지 재료를 푸짐하게 넣은 후토마키는
축제 음식, 잔칫상, 혼례식 등에 자주 등장했습니다.
3. 대표적 문화 – 에호마키(恵方巻き)
- 후토마키는 특히 세츠분(節分)이라는 일본의 입춘 전야제에서
에호마키(恵方巻き)라는 이름으로 먹는 전통이 있습니다. - 행운을 부르는 방향(에호, 恵方)을 향해 입을 다물고 말하지 않고 통째로 먹는 풍습이 있는데,
이 에호마키도 결국 후토마키의 일종입니다. - 이 전통은 원래 간사이 지역의 관습이었지만, 편의점과 마트의 마케팅으로 일본 전역에 퍼졌습니다.
4. 특징적인 구성
- 전통적인 후토마키에는 7가지 재료를 넣는 경우가 많으며,
이는 행운의 7복신(七福神)을 상징한다고도 전해집니다.
대표 재료에는 다음이 포함됩니다:- 달걀지단
- 시금치
- 표고버섯 조림
- 간장에 졸인 연근
- 절인 무 (단무지)
- 어묵
- 우엉 조림 등

저는 달걀지단,단무지,어묵대신 맛살을 넣고 넣어서 기본적인 원리의 후토마키랑 가깝게 만든 것 같기도한데 좋아하는 재료 넣으세요 어차피 김밥처럼 말았다는 의미로 후토마키라고 하니까요 좀 더 굵고 빵빵하게 좋아하는 재료로 넣어서 즐거운 나들이를 떠나거나 기분좋은 브런치로 함께하거나 하면 오늘이 좋은 날이 되겠죠?

여러분도 재미있고 맛있는 요리로 내가 즐거우니 좋은 오늘 날 되세요

항상 응원해주시는 분들께 감사의 인사 드립니다
오늘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ㅇ^
참치로 만들 분은 요기루
https://uplifestyle.tistory.com/162
주말맞이로 햇반 현미귀리곤약밥으로 양귀비 꽃모양을 낸 참치 후토마키 まぐろの太巻き 만들
오늘 일본인 동생이랑 친구랑 잠깐 약속 있어서참치 후토마키 만들어가려구 현미귀리곤약밥으로 양귀비 꽃모양을 낸 참치 후토마키 まぐろの太巻き 만들었어요후토마키는 김밥,롤 이런 뜻이
uplifestyle.tistory.com
'요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룰로스와 스테비아 설탕 비교 장단점 ,상황별 쓰임새 (1) | 2025.04.06 |
---|---|
이즈니버터로 깊은 풍미 더한, 하트 스콘 만들기 (1) | 2025.04.06 |
빈토리오 치즈 나이프 2종 포크 세트 (5) | 2025.04.06 |
저염 김치 만들기 (배추김치,열무김치,갓김치,파김치) (2) | 2025.04.06 |
키친팜 가능한 채소 목록 & 재배법 (0) | 2025.04.05 |